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7 13:15 (토)
내과학회 "마지막 희망의 촛불이 꺼져가고 있다"

내과학회 "마지막 희망의 촛불이 꺼져가고 있다"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24.03.14 18:49
  • 댓글 1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필수의료 마지막 보루 내과 무너져…대통령·정부 결단 촉구"
호소문 통해 교수-전공의 갈라치기 비판…"교수도 한계상황" 
환자 피해 현실화되면 정부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어

"필수의료 마지막 보루 내과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대통령과 정부의 결단이 필요합니다."

대한내과학회가 14일 호소문을 통해 대통령과 정부의 결단을 촉구했다. 

내과학회는 "전공의가 없는 병원은 멈출 수밖에 없다"고 단언했다. 

현재 전국 상급종합병원과 비대학 수련병원에는 4600명의 내과전문의가 진료하고 있다. 내과전공의 3개 연차(1800명)의 비중은 6400명 중 28%에 이른다. 이같은 큰 비중의 의사가 한꺼번에 병원을 그만두는 상황이라는 지적이다. 

내과학회는 "수련병원의 교수(전문의)와 전공의는 톱니바퀴처럼 맞물린 협업 체계로 돌아가는 치료공동체"라면서 "심장중재술을 통해 심근경색증 환자를 살려내는 것도, 밤에 피를 토하고 응급실에 실려오는 환자를 내시경으로 치료해주는 의사도, 호흡곤란으로 응급실로 실려온 환자를 기계호흡을 유지하면서 중환자실 치료를 하는 의사도 모두 당직하는 전공의와 내과전문의이다. 당연히 전공의가 빠지면 기계는 멈출 수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전공의와 교수에 대한 정부의 갈라치기 행태도 비판했다. 

내과학회는 "중증 환자와 응급 환자에게 큰 피해가 가는 순간 의사들의 주장이 송두리째 묻힐 것이기 때문에 교수들이 피 토하는 심정으로 야간 당직을 서고 있는데 정부는 의사 갈라치기를 하고 있다"면서 "사직서를 내고 나간 전공의는 의사의 직분을 팽개쳐 버린 나쁜 놈이고, 교수들은 그것에 반대하기 때문에 병원을 지키고 있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 교수들의 몸과 마음도 한계에 이르면서 사직을 생각하고 있다. 더 큰 의료대란이 오기 전에 이 상황을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필수의료 황폐화를 경고했다. 

내과학회는 "올해 649명의 신입 전공의 중 1명도 수련을 시작하지 못했고, 2,3년차도 거의 대부분은 병원을 떠난 상태"라면서 "그 결과 4년간 내과전문의는 배출되지 않게 되고 내과는 고사하게 된다"고 우려했다. 

의료계를 개혁의 대상으로 몰고가는 대통령과 정부의 인식전환도 촉구했다. 

내과학회는 "매일 아침 라디오에서는 의료개혁을 완수하기 위해 국민에게 불편을 감수해 달라고 보건복지부장관이 광고를 하고, 길거리 광고판이나 심지어 아파트 안내문에까지 의사들이 개혁의 대상임을 선전하고 있다"면서 "정부의 의료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고 지적했다. 

대통령과 정부의 결단을 재차 촉구했다. 

내과학회는 "전쟁터에서 장수의 용기 있고 올바른 결단만이 오직 전세의 흐름을 바꿀 수 있듯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현 상황을 해결해야 한다. 의료개혁이라 포장하고 자유민주주의의 근본을 흔들고 있는 현 정부에 대해 그동안 묵묵히 수십년 동안 환자 곁을 지켜온 교수들은 자괴감이 든다"면서 "중증 환자, 응급 환자 진료로 하루하루 지쳐가고 있는 교수들(전문의)마저 쓰러진다면, 그래서 환자들에게 큰 피해가 가해진다면 그 책임에서 정부도 자유로울 수 없다"고 못박았다. 

필수의료의 마지막 보루 내과가 무너지고 있다

- 대한내과학회 호소문 -

 
이제 마지막 희망의 촛불이 꺼져가고 있습니다.

지난 2월 22일 대한내과학회는 부당한 의료정책에 저항하는 전공의들의 투쟁에 지지와 연대를 표명한 바 있습니다. 이제 전공의가 사직서를 제출하고 병원을 떠난 지 한 달이 가까워 오고 있습니다. 

아무리 상황이 잘 정리되어도 상당수의 필수의료 전공의들이 복귀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특히 내과전공의는 10%도 복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국 병원 전공의 수련책임자들이 하소연을 하고 있습니다. 

필수의료의 마지막 보루인 내과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다시 한번 호소합니다. 조속한 해결을 위해 정부와 대통령의 결단이 필요합니다. 

전공의가 없는 병원은 멈출 수밖에 없습니다. 

전국의 상급종합병원에 내과전문의가 3천5백여명이 근무합니다. 비대학 수련병원까지 합치면 4천6백명이 넘습니다. 전공의 3개 연차가 1,800명이라고 하면 전체 6,400명 의사 중에 28%가 내과전공의입니다. 이 많은 의사가 한순간에 병원을 그만 둔다고 생각해보십시오. 

수련병원의 교수(전문의)와 전공의는 톱니바퀴처럼 맞물린 협업 체계로 돌아가는 치료공동체입니다. 심장중재술을 통해 심근경색증 환자를 살려내는 것도, 밤에 피를 토하고 응급실에 실려오는 환자를 내시경으로 치료해주는 의사도, 호흡곤란으로 응급실로 실려온 환자를 기계호흡을 유지하면서 중환자실 치료를 하는 의사도 모두 당직하는 전공의와 내과전문의입니다. 당연히 전공의가 빠지면 기계는 멈출 수밖에 없습니다. 

정부는 중증, 응급의료 체계는 돌아가고 있으니 의료대란이 아니라고 합니다.

중증 환자와 응급 환자에게 큰 피해가 가는 순간 의사들의 주장이 송두리째 묻힐 것이기 때문에 교수들이 피 토하는 심정으로 야간 당직을 서고 있는데 정부는 의사 갈라치기를 하고 있습니다. 사직서를 내고 나간 전공의는 의사의 직분을 팽개쳐 버린 나쁜 놈이고, 교수들은 그것에 반대하기 때문에 병원을 지키고 있는 것처럼 호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교수들의 몸과 마음도 그 한계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제 교수들도 힘들어서 사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더 큰 의료대란이 오기 전에 이 상황을 끝내야 합니다. 

4년간 내과전문의를 배출되지 않게 되면 필수 의료는 황폐해질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인턴, 레지던트 과정을 거쳐 전문의가 됩니다. 전국의 수련 병원에서 매년 600-650명의 내과전공의를 선발하고 3년 수련과정을 거쳐 국민주치의 내과의사를 양성하게 됩니다. 대한내과학회는 좋은 수련 프로그램과 전문의 고시 제도를 운영하면서 양질의 내과전문의를 배출하기 위해 노력 해 왔습니다. 

그런데 올해 649명의 신입 전공의들 중 1명도 수련을 시작하지 못했고, 심지어 2,3년차도 거의 대부분은 병원을 떠난 상태입니다. 그 결과 4년간 내과전문의는 배출되지 않게 되고 내과는 고사하게 될 것입니다. 내과학회가 현 상황을 비통한 심정으로 지켜보고 있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의료계를 개혁의 대상으로 몰고가는 대통령과 정부의 인식전환을 요구합니다. 

어제(3월 12일)는 윤석열 대통령은 "의대 정원 확대 및 의료개혁 등 우리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개혁과제의 완수를 위해 종교계가 도와달라"는 말까지 하였습니다. 매일 아침 라디오에서는 의료개혁을 완수하기 위해 국민들에게 불편을 감수해 달라고 보건복지부장관이 광고를 하고, 길거리 광고판이나 심지어 아파트 안내문에까지 의사들이 개혁의 대상임을 선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부의 의료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되며 인식전환이 요구되는 바 입니다. 

지금 이 상황을 풀고 의료대란을 정상화해줄 사람은 대통령과 정부입니다. 

전쟁터에서 장수의 용기 있고 올바른 결단만이 오직 전세의 흐름을 바꿀 수 있듯이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현 상황을 해결 할 수밖에 없습니다. 의료개혁이라 포장하고 자유민주주의의 근본을 흔들고 있는 현 정부에 대해 그동안 묵묵히 수십년 동안 환자 곁을 지켜온 교수들도 자괴감이 들 정도입니다. 중증 환자, 응급 환자 진료로 하루하루 지쳐 나가고 있는 교수들(전문의)마저 쓰러진다면, 그래서 환자들에게 큰 피해가 가해진다면 그 책임에서 정부도 자유로울 수 없을 것입니다. 

이제 전 세계에서 부러워했고, 소중한 우리나라 의료를 죽일 것인지, 다시 살려낼 것인지 마지막 선택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필수의료의 중심인 내과를 살릴 수 있는 정책을 정부가 올바르게 세우도록 모든 회원들이 한마음 한 뜻으로 노력해 나갑시다.

2024. 3. 14
대한내과학회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